728x90
반응형
git은 분산 관리 제어 시스템이다.
우선 우리 컴퓨터에 git이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을 해야한다.
커멘드창에
git --version 이라고 입력해보면
이렇게 나온다면 깔려 있는 것이다. 하지만 깔려 있지 않다면 아래 사이트에서 깔면됩니다.
git을 설치를 하고 나서 현재 우리가 만들었던 디렉토리 부분에서
git init를 해줍니다.
그리고 나서
상태를 확인 해보는 명령어로
git status
를 입력을 하면
위와 같이 나옵니다.
Untracked files 안에 있다는 소리 이고 이것에 대해서 자세히 보자면 이렇습니다.
처음 working 디렉토리 아무것도 안한 상태이고
git add 한다면 staging Area 로 가는것이다.
그리고 여기서 중요한것은 우리가 설치했던 라이브러리 같은 경우에는 설치해서 사용하면되고 양이 많기 때문에
굳이 깃에 올릴 필요가 없다 그래서,
.gitignore 이라는 파일을 하나 만들자.
이렇게 생성을 해준다음에 그 안에다가
해준다음에 다시 git status 해주면 아래 node_modules가 사라진게 보일것이다.
그리고 나서 다시 로컬에 올리는 것이다.
git add . 해준다음에 .까지 입력해야한다.
상태를 확인해주면 저런 상태가 되는데
git commit -m "현재 내용 커밋하기"
라고 커밋을해주고
상태 확인하면 없어지는게 맞고
마지막으로 remote 깃 저장소에 저장하는것이 마지막이다.
그것은 다음에 설명을 이어가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WEB 만들기 - 6 회원 가입 기능 (0) | 2021.01.17 |
---|---|
WEB 만들기 5 - git허브 연결 (0) | 2021.01.16 |
WEB 만들기 - 2 유저모델 & 스키마 생성 (0) | 2021.01.16 |
WEB 만들기 - 1 몽고 디비 연결 설정 (0) | 2021.01.16 |
WEB 만들기 - 0 리액트 초기 설정 (0) | 2021.01.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