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 카테고리의 글 목록 (10 Page)
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WEB49

WEB 만들기 - 6 회원 가입 기능 서버로 회원가입했을때 이메일이나 비번을 보내기 전에 Body-parser 라는것을 이용한다. >npm install body-parser --save 이명령으를 이용해서 바디 파서를 다운을 받습니다. 그리고 POST Man을 다운을 받으세요. www.postman.com/downloads/ Download Postman | Try Postman for Free Try Postman for free! Join 13 million developers who rely on Postman, the collaboration platform for API development. Create better APIs—faster. www.postman.com 여기로 들어가서 다운로드를 해줍니다. 다운을 해놓고 Regis.. 2021. 1. 17.
WEB 만들기 5 - git허브 연결 git 은 도구 git hub 깃을 사용 하는 서비스 github 사이트에서 회원가입을 하고 나서 github.com/ GitHub: Where the world builds software GitHub is where over 56 million developers shape the future of software, together. Contribute to the open source community, manage your Git repositories, review code like a pro, track bugs and feat... github.com 이런 화면이 나오게 됩니다. new 버튼을 눌러서 Repository name 부분에 원하는 이름 써서 생성을 합니다. 이제 우리가 안전하게 .. 2021. 1. 16.
WEB 만들기 - 4 git 설치 git은 분산 관리 제어 시스템이다. 우선 우리 컴퓨터에 git이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을 해야한다. 커멘드창에 git --version 이라고 입력해보면 이렇게 나온다면 깔려 있는 것이다. 하지만 깔려 있지 않다면 아래 사이트에서 깔면됩니다. git-scm.com/ Git git-scm.com git을 설치를 하고 나서 현재 우리가 만들었던 디렉토리 부분에서 git init를 해줍니다. 그리고 나서 상태를 확인 해보는 명령어로 git status 를 입력을 하면 위와 같이 나옵니다. Untracked files 안에 있다는 소리 이고 이것에 대해서 자세히 보자면 이렇습니다. 처음 working 디렉토리 아무것도 안한 상태이고 git add 한다면 staging Area 로 가는것이다. 그리고 여기서 중요.. 2021. 1. 16.
WEB 만들기 - 2 유저모델 & 스키마 생성 모델은 스키마를 감싸는 역활을 하고 스키마는 하나 하나의 정보를 지정해줄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우리는 우선 유저모델을 만들것이다. 그러기 전에 우선 이번에는 폴더를 models로 생성해보자. 그리고 그 폴더 안에 New File을 User.js 이라는 이름으로 만든다. const mongoose = require('mongoose'); const userSchema = mongoose.Schema({ name : { type : String, maxlength : 50 }, email : { type : String, trim : true, unique : 1 // 혹시나 띄어쓰기 한경우 띄어쓰기 안되게 }, password : { type : String, minlength : 5 }, lastnam.. 2021. 1. 16.
728x90
반응형